wn42
코딩이랑 이것저것
wn42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113)
    • 프로그래머스 (23)
      • LV1 (11)
      • LV2 (1)
      • LV3 (3)
      • 연습 (8)
    • 딥러닝 공부 (0)
      • 머신러닝&딥러닝 이론 (0)
    • 임베디드 (17)
      • Adventure Design (1)
      • 센서기반모바일로봇 (5)
      • ROS (9)
      • Google Coral (2)
    • C++ (38)
      • C++ 기초 (34)
      •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(4)
    • Python (14)
      • 기본 파이썬 문법 (6)
      • Python 기초 (8)
    • 빅데이터 (9)
      • 빅데이터 첫걸음 시작하기(국비지원) (5)
      • 빅데이터 공부 (4)
    • 알고리즘 공부 (2)
      • 기본 알고리즘 (2)
    • 전자공학 (10)
      • 반도체 공정 (3)
      • 무선데이터통신 (7)
      • 반도체공학 (0)
    • C# (0)
      • C# 기본 (0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데이터분석 인강
  • 파이썬
  • 스택/큐
  • 패스트캠퍼스
  • 정렬
  • 노드
  • numpy
  • 큐
  • ROS
  • 내일배움카드
  • google coral
  • 인스턴스
  • 빅데이터
  • c++
  • 바이트디그리
  • 소멸자
  • Queue
  • stl
  • 조건문
  • 클래스
  • 상속
  • 데이터분석
  • K디지털크레딧
  • Python
  • 스택
  • 딥러닝
  • 변수
  • 빅데이터 첫걸음 시작하기
  • 프로그래머스
  • 반복문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wn42

코딩이랑 이것저것

[Python] (스택/큐) 기능개발
프로그래머스/연습

[Python] (스택/큐) 기능개발

2022. 3. 24. 19:04

문제 설명

프로그래머스 팀에서는 기능 개선 작업을 수행 중입니다. 각 기능은 진도가 100%일 때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.

 

또, 각 기능의 개발속도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뒤에 있는 기능이 앞에 있는 기능보다 먼저 개발될 수 있고,

이때 뒤에 있는 기능은 앞에 있는 기능이 배포될 때 함께 배포됩니다.

 

먼저 배포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작업의 진도가 적힌 정수 배열 progresses와 각 작업의 개발 속도가 적힌 정수 배열 speeds가 주어질 때 각 배포마다 몇 개의 기능이 배포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.

 

제한 사항

  • 작업의 개수(progresses, speeds배열의 길이)는 100개 이하입니다.
  • 작업 진도는 100 미만의 자연수입니다.
  • 작업 속도는 1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.
  • 배포는 하루에 한 번만 할 수 있으며, 하루의 끝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합니다. 예를 들어 진도율이 95%인 작업의 개발 속도가 하루에 4%라면 배포는 2일 뒤에 이루어집니다.

 

입출력 예

progresses speeds return
[93, 30, 55] [1, 30, 5] [2, 1]
[95, 90, 99, 99, 80, 99] [1, 1, 1, 1, 1, 1] [1, 3, 2]

 

코드 작성

성공 #1

def solution(progresses, speeds):
    day = []
    for i in range(len(speeds)):
        j = 0
        prog = progresses[i]
        while True:
            prog += speeds[i]
            j += 1
            if prog >= 100:
                day.append(j)
                break
        
    answer = []
    pack = 0
    min = day[0]
    
    while True:
        day.pop(0)
        pack += 1
        if not day:
            answer.append(pack)
            break
        elif min >= day[0]:
            continue
        else:
            min = day[0]
            answer.append(pack)
            pack = 0
            
    return answer

통과하긴 했는데 진짜 단순한 코드는 못짜겠다. 생각이 안난다.

  • 먼저 day는 한 개의 작업이 끝나는 일자를 담는 리스트다.
  • 1번째 for문에서는 while을 추가로 사용하여 progress가 100%가 넘어가면 그 값을 day에 넣게 만들었다.
  • 1차적으로 day라는 작업 당 소요 일수 리스트가 완성됐다.
  • 정답 answer 리스트와 몇개가 동시에 배포되는지를 나타내는 pack 변수를 생성했다. 그리고 min = day[0]로 두었다. min을 만든 이유는 min 다음의 원소가 더 작은 경우, 즉 뒤에 있는 작업이 먼저 끝난 경우 같이 배포하도록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.
  • while 문을 만들고 그 안에 if문 elif문, else문을 생성했다. day를 큐 구조로 사용하여 앞부분의 원소가 먼저 나오도록 pop() 함수를 사용했다.
  • if문에서 day가 빈리스트가 되는 경우 바로 pack을 answer에 집어넣는다. 이 if문이 발동되는 경우는 progresses가 1개 뿐이거나 맨 마지막 배포가 이뤄지는 경우이다.
  • elif문에서는 min 값이 day[0] 이상인 경우 뒷 기능들을 담아야하기에 continue로 다시 pop하고 pack+=1을 진행하게 만들었다.
  • else문에서는 min < day[0]인 경우로 min을 day[0]로 초기화하고 pack을 answer 원소로 담은 뒤 pack=0으로 초기화하였다.

 

다른 사람 풀이

def solution(progresses, speeds):
    Q=[]
    for p, s in zip(progresses, speeds):
        if len(Q)==0 or Q[-1][0]<-((p-100)//s):
            Q.append([-((p-100)//s),1])
        else:
            Q[-1][1]+=1
    return [q[1] for q in Q]
  • zip함수를 이용하여 progresses와 speeds를 p와 s에 각각 전달한다.
  • if문
    • ((p-100) // s)는 음수의 결과를 가진다. 음수를 사용한 이유는 몫에 소수점이 발생하면 음수의 나누기의 경우에는 1 작은 정수로 이동하기 때문이다. 예를 들어 (2018 // 5) = 403이지만 (-2018 // 5)를 하면 -404이다. 우리가 작업 일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나머지까지 생각해서 올림을 해야하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음수로 나누기를 수행한다면 굳이 올림수를 만들지 않고도 작업 일수를 정확히 구할 수 있다. 마지막에 (-)를 다시 곱해서 정확한 작업 일수를 구한 것을 알 수 있다.
    • Q는 2차원 배열로 Q[i][0]은 작업일수, Q[i][1]은 배포할 때 포함되는 기능의 수를 의미한다.
    • Q[-1][0]과 Q[-1][1]을 우선 Q에 만들어 두었기 때문에 이후부터는 Q[-1][0]과 Q[-1][1]로 새로이 업데이트되는 값들과 비교를 진행하면 된다.
    • 예를 들어 Q[-1][0]인 작업 일수보다 다음 작업의 일수가 더 큰 경우에는 기능을 추가로 배포할 필요가 없다. 그래서 새롭게 Q를 리스트에 추가한다.
    • 그런데 Q[-1][0]인 작업 일수보다 다음 작업의 일수가 더 작은 경우에는 else 문으로 넘어가서 Q[-1][1]에 기능을 추가하게 된다. 그리고 p, s를 업데이트하고 비교를 다시 진행한다.
    • for문을 모두 거치면 Q[i]를 q에 넣고, q[1] 즉, Q로 따지면 Q[i][1]인 부분을 반환한다. 그 부분이 함께 배포되는 기능의 수의 리스트이다.

 

끝으로

코딩 잘하는 사람이 부럽다. 이 사람의 코드를 보고 많은 것을 배워갈 수 있었다.

이를 내가 직접 응용할 수 있도록 연습을 꾸준히 해야겠다.

    '프로그래머스/연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Python] (스택/큐) 프린터
    • [Python] (정렬) H-Index
    • [Python] (정렬) 가장 큰 수
    • [Python] (정렬) K번째 수
    wn42
    wn42
    코딩이랑 이것저것 하는 블로그

    티스토리툴바